옛날의 기후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고기후 연구방법

제14기 기상청 국민참여기자단 이수민 안녕하세요 기상청 블로그 구독자 여러분!
완연한 봄이 왔습니다.

3월에 발행된 알아두면 점수가 올라가는 기상 이야기, 여러분 어땠어요? 오늘은 알점기 기사는 아니지만 수능 지구과학에 대한 내용을 기사로 가져왔어요!
오래전 기후는 어땠을까? ‘오래전 기후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진 분들에게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바로 고후 연구 방법입니다!

두툼, 출처=(직접제작) 이수민 기자, 먼저 두툼함이 무엇인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이예상했던것처럼옛날고자를사용해서옛날의기후를말하는데영어로는paleoclimate라고씁니다.

그렇다면 옛날 기후인 건 알겠지만 ‘정확히 어느 옛날 기후를 말하는 거야?’라고 하시는 분 계실 텐데요~두산백과에 따르면 넓은 의미에서는 역사시대(문자로 기록을 남기기 시작한 이후)나 기상관측이 이루어진 시대를 포함한다고 합니다.

그럼 옛날처럼 기록도 제대로 못했을 텐데 어떤 기록으로 옛날 기후를 연구할 수 있을까요? 자연이 보관하고 있는 기록에서 알 수 있습니다!
뭐가 있을까요?1 고기후 연구 방법 화석

공룡과 암모니아, 출처=(직접제작) 이수민 기자일단 화석입니다 화석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공룡?!
맞아요!
공룡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식물 화석이 있는데 지질시대 퇴적암 속에 퇴적물과 함께 퇴적된 동식물의 유해나 흔적을 화석이라고 하는데 이 화석으로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화석은 과거 지질시대에 살았던 동식물의 유해나 생물이 활동한 흔적이 암석에 보존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 화석을 연구하면 지층이 생성된 시기와 당시의 환경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화석에는 표준화석과 시상화석이 있습니다.

표준화석은 특정 시기에 출현하여 일정 기간 번성하고 멸종한 생물의 화석은 지층이 생성된 시기를 판단하는 근거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표준화석으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생대 삼엽충, 중생대 공룡이나 암모니아 등이 있습니다.

(왼쪽)고사리 화석(오른쪽)산호 화석, 출처=(직접 제작)이·수민 기자의 시상 화석은 화석이 발견된 지층의 퇴적 환경을 잘 나타낼 수 있다 화석을 말한다.

시상 화석은 온도와 기후 등의 조건이 좁지만 살 수 있는 환경이 제한적인 생물의 화석에서 그 화석이 번성했던 시대의 기후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보다 친밀하게 만들고 예를 들어 봅시다.

우리의 식탁에 자주 실려고사리!
고사리는 따뜻하고 습한 육지에 서식합니다.

이 고사리 화석이 발견된 것은 따뜻하게 습기 찬 기후이면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예로는 산호가 있습니다.

여행 프로그램을 보면 에메랄드 빛 바다에 아름다운 일고 있는 산호가 보지요? 이 산고는 따뜻하고 수심이 얕은 곳에 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야 쿠사 산호는 수온 18℃~25℃ 전후, 햇빛을 받은 50m이내의 얕은 곳에만 서식하지만 그 때문에 이 산호 화석을 발견했다고 하면 그 당시의 지층의 상태, 기후가 알것입니다.

빙하 코어빙하코어, 출처=(직접제작) 이수민 기자빙하에서도 기후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아니, 빙하를 통해서 무엇을 알아~”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만, 극지방에는 눈이 내리고 쌓여서 굳어지고 얼음으로 바뀐 빙하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꽃가루와 당시의 대기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화산이 폭발한 때면 화산재도 함께 갇히고 있죠? 이 대기 성분을 연구하면 이산화 탄소 발생량 대비가 나타납니다.

이산화 탄소 함량비는 기온과 관련이 있어 이를 통해서”이 때는 조금 더웠어~””이 때는 좀 추웠구나”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꽃가루에 대해서 말씀 드리면, 기후가 한랭하는 침엽수의 꽃가루가 많아지면서 기후가 온난하다와 활엽수의 꽃가루가 많이 된답니다.

침엽수는 주로 추운 기후에 활엽수는 온난한 기후에서 잘 자라거든요. 꽃가루 분석에서도 기후가 어땠는지 알겠죠? 마지막으로 화산재. 상기처럼 화산재가 들어 있다면 이때는 화산이 폭발한 것으로 알겠죠? 이렇게 직접 경험한 것은 없지만, 빙하 코어에서 옛날의 기후가 짐작할 수 있습니다 나무의 연륜 화석, 빙하 코어는 모두 너무 멀게 느끼는 것이었습니까?그런데 이번 소개하는 방법은 우리에게 아주 가까운 생물을 통해서 헌 기후를 연구하는 방법입니다!
그것은 나무입니다!
연령층, 출처=(직접제작) 이수민 기자다들 나무의 연륜에 대해서 들어보셨죠? 연륜은 나무를 가로로 베었을 때 보이는 동심원 모양의 받침대입니다.

하지만 이 틀들의 간격은 모두 다릅니다.

대체로 따뜻한 봄과 여름에는 성장 속도가 빠르고 그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으며 추운 가을과 겨울에는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그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습니다.

계절의 영향을 받아 그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하는 것이군요. 나무의 연륜을 분석하면 나무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즉 기온, 강수량, 일조량 등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세 가지 고기후 연구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내가 기사에서 소개한 방법보다 더 많은 방법이 연구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동굴 생성물, 산호 골격, 지층 퇴적물 등을 이용한 연구 방법이 있으니 혹시 더 궁금하신 분들은 위 키워드로 검색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알 수 있다는 말처럼 고기후 연구는 향후 기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정말 중요한 연구입니다.

다양한 고기후 연구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관심 있으신 분들은 <고기후 연구 프로그램>을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 고후의 연구 방법과 지질 시대의 기후에 대해 이야기를 했는데 어떠셨나요? 흥미로운 기사였어요? 구독자분들께 도움이 되는 기사였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음 달에 더 알차고 재미있는 기사로 돌아옵니다.

읽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알 수 있다는 말처럼 고기후 연구는 향후 기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정말 중요한 연구입니다.

다양한 고기후 연구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관심 있으신 분들은 <고기후 연구 프로그램>을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 고후의 연구 방법과 지질 시대의 기후에 대해 이야기를 했는데 어떠셨나요? 흥미로운 기사였어요? 구독자분들께 도움이 되는 기사였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음 달에 더 알차고 재미있는 기사로 돌아옵니다.

읽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내용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사진출처 직접제작내용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사진출처 직접제작